반응형

제주도 버스체계가 바뀌었다고 한다.

언제부터 어떻게 바뀌었는지 심도 있게 파악하는 건 뒤로 하고...

예전엔 일단 서일주, 동일주 버스가 있어서 정말 한번 타면 완행으로 엄청 오래 걸렸는데 새로 바뀐 버스체계는 간선버스 등 기존의 불편함을 보완한 듯 하다.

매번 렌트카를 이용하다가 오랜만에 버스를 이용할려고 하니 새로왔다.

7~8년전 금능에서 거문오름을 버스타고 다녀오는데, 연계편이 마땅치 않아서 7시간 걸린 적이 있었다.

아무튼 이번에 제주 혁신도시 아파트에 살고 있는 친구 아파트를 거점으로 삼았기에 제주공항에서 서귀포로 이동해야 했다.

친구 말에 따라 공항버스를 타고, 서귀포 우체국에 내렸는데 비용이 5,000원 이었다. 안내판에는 할인이 되서 3,000원 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왜 5,000원 일까 했는데 공항버스 이니깐 비싸겠지 하고 넘어 갔다.

하지만 다시 제주공항으로 돌아갈 때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이 공항버스 외에 급행버스가 있었다. 가격은 3,000원..  소요시간도 비슷하고, 거리가 더 짧게 조회된다.

그럼 차이가 뭐지???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 일요일 낮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공항까지 1시간 정도 걸렸다. 제주시 시내에서 차가 막히는 것 빼고는 무난하게 이동 하였다.

급행 버스를 이용함으로써 2,000원 절약!!

참고로 서귀포시외버스 터미널에는 시간표가 2개 기재되어 있다. 급행 버스를 탄 이후에야 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12:40, 12:43... 이렇게...

바로 정거장에서 3분 동안 대기하는 시간이다.


제주시 탑동 방파제 근처 식당에서 현지인 친구와 같이 먹어본...

구문쟁이...(농성어)

처음 들어본 이름 이었다. 구문쟁이....  아마도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아닐지...

블로그를 보니 다금바리 사촌 쯤 된다는 것 같았다.

친구랑 간 식당이 아주 추천할 만한 곳은 아니었다.

그래도 처음 먹어봐서 처음으로 느껴본 맛 이었는데, 값싼 생선이 아니라서 그런지 질리지는 않았다. 계산은 친구가 해서 정확히 모르겠지만... 150,000만원 이었던 것 같다.


TV에서 많이 본 해물라면.... 정확히 내가 먹은 것은 게라면 이었고, 친구가 먹은 것은 문어 라면 이었다. 먹었던 식당은 표선해수욕장, 해비치 식당가 였다.

아마도 친구가 검색해서 찾아 간 것 같은데, 맛은 현지인과 외지인 입장에서 모두 비추~  가격은 게라면이 8,000원, 문어라면은 12,000원 이었는데... 문어의 경우 국산 이냐고 물어보니 현지에서 잡은 돌문어만 사용한다고 하는데... 라면에 들어간 다른 해산물 상태가 그리 좋지 않다. 먹을만한 해산물이 별로 없고... 맛도 그리 놀랄 만한 맛은 아니다.


사실 처음 들어본 산이다. 한라산과 산방산, 송악산은 들어봤지만 고근산.... 위치는 서귀포 혁신도시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즉 시내랑 상당히 가깝다.

서귀포 혁신도시 윗 블럭에는 예전부터 자리를 잡은 주택들이 있는데 바다가 바라보이는 전망과 규모 및 그 입지를 고려하였을 경우에 평창동(?)과 견줄만 하다.

산으로 올라가는 길은 몹시 잘 정비가 되어 있었고, 나무 계단도 훌륭했다. 고근산 정상과 구 서귀포 전망대로 나뉘는 길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패러글라이딩도 타는 것 같다. 어떤 길로 가도 상관없다. 고근산 정상에서 앞쪽은 서귀포 전망을 뒤로는 한라산을 바라보는 높지 않지만 오름 같은 산이다.

높은 산이 힘든 사람에게 적극 추천할 만한 산이다. 높이 대비 뷰(view)가 좋다!!


국내, 국외 이동시 항공을 이용할 때 아주 큰 사고는 없었지만 소소한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도 가는 첫 비행기를 두번이나 놓친적이 있고, 출발 15전에 도착해서 탑승한 경험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는 이번에는 LUCKY 한 케이스 인데요

공항에서 늦게 체크인(CHECK-IN) 했는데 운좋게 혜택을 받았던 경험담 입니다.

 

 

이스타항공

1. 항공사의 다양한 가격정책

 

이스타항공은 좌석별로 다양한 가격 정책이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값싼 티켓을 찾는 저같은 여행자는

추가지불(extra payment) 하고 공간이 넓은 좌석을 구매 하지 않습니다.

넓은 좌석을 이용하는 행복 보다는 싼 티켓을 구매한 행복이 더 큽니다.

 

2. 제주도 항공권 구입

 

가격을 계속 보다가 최저가는 아니지만 출발 1일전에 할인 금액으로 제주도 티켓을 구입 하였습니다.

 

3. 출발 직전에 구입하는 항공권 쌀까? 비쌀까?

 

정답은 국내와 국외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제 경험상 국내선의 경우 출발 전 사면 싼게 아니라 비쌉니다.

국제선의 경우 경우마다 차이가 나지만 출발 바로 전에 구입한 경우 싼 경우도 있습니다.(50% 정도)

 

4. 공항에 늦게 도착해서 체크인

 

출발일에 제주도에서 폭우가 내렸고 폭우랑 상관없이공항에 늦게 도착해서 간신히 체크인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왠 떡

태어나서 처음으로 공간이 꽤 넓은 1열에 앉아습니다. (아직까지 비지니스 석은 경험 못해봄)

 

5. 오버부킹

 

아마도 대부분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예약한 사람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over booking에 때문에 1열에 앉을 수 있었습니다. 국제선의 경우 예전에 이렇게 over booking 때문에

비지니스 석으로 업그레이드 된 경우가 있었다고 하는데

전 그 대신 extra payment 좌석으로 일단 만족 ^^ 합니다.

 

 

중국남방항공 이용 후기~

중국남방항공과 러시아항공 이용 경험담 러시아항공과 중국항공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대체로 선호되지 않는 항공사입니다. 그러나 두 항공사를 장거리 이동 시 이용한 결과 타볼 만 했습

bluepants.tistory.com

 

지난 5.3(목) 7시에 서울발 제주도행 비행기 수속을 해야하는데,,, 집에서 첫 지하철(5시30분)을 탔음에도 불구하고 20분 전에 김포공항에 도착해서 빠른 수속을 해야 해서 국내선에선 처음으로 셀프체크인(self check-in)을 이용해 봤다.

항공사 지정 후 카톡으로 날라온 예매번호만 입력 했더니 발권이 되었다. 수속줄이 길거나 수하물로 짐을 싣지 않을 경우 간편하고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용하면서 궁금한 점이....

김포공항에서 출발전 20분 전에 셀프체크인(self check-in) 을 아무런 문제 없이 이용했다. 하지만 제주공항에서도 똑같이 출발전 20분 전에 셀프체크인(self check-in) 을 이용했는데, 최종 화면에서 좌석 선택이 되지 않아서 어쩔수 없이 대면으로 진행 했는데... 담당자 왈 출발 20분 전이라서 셀프체크인(self check-in)이 작동되지 않는다고 했다. 정말 그럴까? 몹시 궁금하다. 그렇다면 김포공항에서는 몇초 차이로 작동되었다는 얘기인데....  어디서도 출발 몇분 전까지 작동된다는 공지를 본 적이 없어서 최종 확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셀프체크인(self check-in) 기계에서 출발시간 보다 15분 늦는 다고 공지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담당자는 그런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그럴수도 있다고만 했다. 출발은 공지한 대로 15분 늦게 출발했다. 결론은 담당직원에게 관련 사실이 통지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인 것 같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승객은 알고 있는 사실을 담당직원이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수하물이 있을 경우에는 어떻게 이용하는지 궁금하다. 해외 출국시 마다 궁금했는데 항상 시간상 여유가 없어서 알아보지 못했다.

책 표지에 이렇게 쓰여있다.

모방에서 주도로, 중국발 혁신 세계를 앞지르다.

"모바일 분야에서 새로운 흐름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실리콘밸리가 아니라 중국이다" - 뉴욕타임스...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뜻하는 BAT는 최근5년간 수백 개의 스타트업에 100조 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으며, 2016년에는 중국의 유니콘 가운데 60% 이상이 BAT로부터 투자를 유지했다. 이처럼 중국 스타트업 생태계는 선두권 기업들이 제로섬 경쟁에 메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점유율 확대와 비용 절감을 위해 끊임없이 협업하며 발전해 나가고 있다.

뉴스에서 자주 들었던 아래의 말을 정확히 몰랐는데 책 속에서 설명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 시진핑 정부가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 실크로드 전략,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육상 실크로드(일대)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잇는 해상 실크로드(일로)를 복원하고자 하는 사업

FANG : 미국 기술주를 대표하는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ex), 구글(Google) 등 4개사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를 뜻 함


2006년 중국 선전에서 왕타오가 창업한 DJI는 중국기업 중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드론 업계의 표준을 만들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액 비중이 전체 매출의 80%에 이른다고 한다.


한번이라도 들어봤을 마윈의 알리바바그룹은 우리는 잘 모르지만 아래와 같이 다각화 경영을 하고 있다.


왠지 중국은 아닐 것 같은데 중국이 전기차 판매량은 부동의 1위이다. 전기차 판매 비율이 노르웨이가 29% 가장 높기는 하지만 판매량 자체가 적어서 그 의미는 별로 없을 것 같다. 전기차 관한 기사에 중국이 별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그 판매대수로 불 때 엄청난 시장 임에는 틀림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