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공부하게 된 계기?

- 기존에 하던 업무 및 경력과 전혀 상관없는 분야 이었지만, 다른 분야의 업무를 도전(?)함에 있어서 혹시나 도움이 될 까 하고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Q)시험 난이도는?

- 회계사 자격증과 관광통역사안내사 자격증도 보유하고 있지만, 국제무역사의 경우 시험출제기관이 정부가 아닌 협회라서 그런지 출제되는 문제가 거시기 해서 공부 하는 동안 상당히 짜증났다. 공부 후 기출문제 풀 때 마다 제 시간에 풀지도 못하고, 정답이 왜 그런지 이해가 잘 가지 않았다.

Q)공부방법?

- 분야가 새로와서 독학 하는 대신 동영상 강의를 들었다. 강의 선택 기준은 재밌는 강의를 우선 순위로 꼽았다. 작년에 처음 동영상을 들을 때는 우선 일단 강의를 다 들어보고 다시 들으면서 학습하자는 전략을 갖고 수업을 들었는데, 들어야 할 강의가 많다보니 내용이해는 뒤로 한 채 그냥 강의만 듣다보니 시간은 시간대로 쏟아붓고 머리에 남는 건 없었다. 그래서 재수(?) 할때는 강의만 듣는 게 아니라 이해 안가는 용어나 내용이 있으면 플레이를 멈추고 다 찾아가면서 공부했다. 그래서 총점이 55점 더 올랐다. 

Q)시험 공부 하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

- 처음 시험 결과를 보고 적지 않게 충격을 받았었다. 나름 열심히 했고, 이것보다 더 어려운 시험도 독학으로 합격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시험볼 때 상당히 쉽게 문제를 풀었고, 제2교시 2과목 영어도 상당히 빨리 풀어서 시험 종료 15분 전에 나왔기 때문에 고득점으로 합격할 줄 알았는데 결과는 5점 차이로 불합격. 시험을 어렵게 풀었으면 차라리 괜찮을텐데 그 원인을 찾기가 어려웠다. 그 원인은 재도전 할 때 알게되었다. 우선 INCOTERMS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 봤다는 걸 알게되었다. 

혹시나 국제무역사 자격증이 꼭 필요한 경우라면 모를까 이 시험 보다는 국가에서 주관하는 시험을 준비하는 게 더 나을 듯 싶다. 전체적인 시험수준이 국가공인시험 보다 별로 인 것 같다.

다만 꼭 국제무역사 시험을 치뤄야 한다면,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그때 마다 이해하고 진도를 나가야지 나중에 강의를 다 듣고 이해할려고 하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 


'무역 관련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무역사 1급 기출문제  (2) 2017.08.06

어제 2017.8.5(토) 국제무역사 1급 시험이 있었는 데요, 좀더 심도있는 무역관련 지식을 쌓고자(사실 관련 책은 여러번 읽은 적 있음) 공부도 하고 이왕이면 자격증도 같이 따볼까 하는 요량으로 공부를 했는데요...

그 동안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무역업종에 취직 하고자 하는 대학교 졸업생이나 신입사원들 빼고는 그리 추천할 만한 자격증 공부(?)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주된 이유는 강사님도 여러 번 얘기 했지만, 실제와 이론이 따로 놀고, 시험문제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낡은 이론만 가지고 출제되는 문제도 많아서 저 처럼 어는 정도 사회경력이 있는 사람이 공부하기엔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튼 학원에서 제공한 기출문제 제35회~제38회, 인터넷에서 떠도는 자료를 모아서 올리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1교시.pdf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2교시.pdf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답안.pdf

제36회 국무사정답.pdf

제36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1교시.pdf

제36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2교시.pdf

제37회 +국제무역사+정답.pdf

제37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1교시.pdf

제37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2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문제_1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문제_2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정답.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_1교시+문제.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_2교시+문제.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정답.pdf


'무역 관련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1회 국제무역사1급 합격수기  (0) 2018.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