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래 글은 본인의 창작물이 아닌 관계로 문제가 있을 경우 삭제할 예정입니다.

1.     Writing for yourself rather than for the reader

·                Know who your reader is

Do you know who will be reading your report?

If more than one person, who is the most important (ie who makes the decision/pays the fee/influences whether we are used again?)

What do they want to know from us?

Have you answered their question?

What do they already know about the subject?

Don’t tell them what they already know.

Most of our readers are busy, overloaded with information, knowledgeable about their organisation and their industry.

-     So don’t waste their time.

·                Write your report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Most readers are interested in your key findings and conclusions – put those first.

The opening section is the most important – it should be compelling and interesting for the reader.

-     Try starting with The key issues rather than Background and scope.

The main document should only contain substantive issues, conclusions and back-up for your conclusions. Working papers, interview notes, copies of scope, terms of reference etc can all go in appendices.

If the document has more than one reader, structure it into relevant sections and make sure they are clearly titled so each reader can find the bit they are most interested in; eg:

Executive summary – Key issues and findings – Conclusions – Recommendations –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 etc


2.     Including too much detail

·                Be quite clear about your topic and purpose

What are you writing about and why?

What do you hope the reader will do after reading your document?

If you have clear answers to these two questions, it will help keep your writing focused and to the point.

·                Include only information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this topic and purpose

Do not include history, background or “nice to know” facts unless you are sure they are relevant to or important for the topic/purpose.

To be able to do this, you have to have a clear idea about what you are trying to say before you start writing (see 3 below).

 

3.     Writing as you think (doing a “brain-dump”)

Often people don’t know where to start, so they start by writing the easiest part – the reason for the assignment or what they did.

This is not usually of much interest to the reader.

·                Do an outline before you start writing

The best documents present a logical “story” to the reader which is easy to follow.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planning the outline of your “story” before you start writing.

·                Include key messages, not just chapter or topic headings

An effective way of doing this is to write down all your chapter and section headings and then include a sentence after each one stating the main conclusion or principal message of that section.


4.     Making the reader do all the work

A good report is one which conveys its message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 reader. If any reader says “Yes, but what are you trying to say?”, you will know you have written a poor document.

·                Make sure each section passes the “So what?” test

You can do this by always including a conclusion or the implication of your findings.

Never leave it to the reader to draw conclusions from what you have written:

                   a)  they might draw the wrong conclusion!

                   b)  they are paying you for advice and guidance, not just facts.

 

5.     Using more words than you ne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ood writing is clarity; however, in the attempt to be clear, we often repeat ourselves or add more words than are required.

·                Edit your work for superfluous words or phrases

Unnecessary adjectives and adverbs:

completely eliminate; a brief overview; overall summary

Phrases of 4 or 5 words where one word will do:

as of this date (today); owing to the fact that (because); in connection with (about); with the result that (so that)

Saying the same thing twice:

3.00 am in the morning; mutually agreed between the two parties

“Warm-ups”: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nform you that ...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

As you may or may not know, ...

·                Check that you haven’t repeated yourself

If you can, put the document aside for a time so that you can read it again with fresh eyes; or ask someone else to read it for you (they will be more detached).

6.     Producing cluttered, unattractive pages

Page layout and design has an important effect on how easily we read and understand the message.

Remember the following rules:

·                Type:

for maximum legibility, use 11 or 12 pt in body text (you can use 10 pt in graphics)

·                Line length:

lines of text should be 8-12 words long; if they are any longer the reader has to make a physical effort to read, dragging their eyes across the pag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landscape documents.

·                White space:

use plenty of “white space”; it makes the page appear less cluttered and allows you to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     wide margins

-     more space before headings than after

-     space between headers/footers and text

-     space around graphics inserted into body text

·                Reading pattern:

we read from top left to bottom right, so landscape pages should be designed with this in mind

Use the new template AP landscape documents.pot, which has been designed according to best practice principles.

 


아래 자료는 창작 자료가 아니라 2000년대 초반에 받은 자료라서, 문제가 있을 경우 삭제 할 예정입니다.

5 tips for effective writing.pdf




제 소속이 채용 및 평가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사과가 아니고, 단지 부서에서 필요한 사람을 채용시 그 면접에 직접 참여하여, 채용여부에 대한 상당한(?) 의견을 개진하는 면접관 입장에서 면접시 알아두면 좋을 팁을 공유 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기술하고자 하는 내용은 100% 경험에 의한 내용이고, 외국계 회사라는 특수성과 개별성도 참고 되어야 합니다.

 

전에 근무했던 외국합자회사에서는 인턴 인원을 채용하기 위해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외국계 회사에서는 대리, 과장, 차장, 사원 급 직원을 채용한 적이 있습니다. 각 직급마다 4~8명 정도 대상자를 선별해서, 한명당 30~50분 정도 인터뷰를 본 것 같습니다.

 

채용자 입장에서 진행 절차

 

1. HR 담당자로 부터 면접 대상자 서류를 전달 받습니다.

현재 제가 몸 담고 있는 회사의 경우, 신입직은 직접 공지를 통해 서류를 접수 받고, 그 이상 직급은 Head Hunter를 통해서 리스트를 전달 받습니다.

 

2. 면접 하기 전에, 전달 받은 서류를 보면서 중요사항이나 궁금한 내용을 기재합니다. 서류에 있는 사진도 개인적으로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랑 같이 인터뷰를 진행하시는 이사님과 공통된 의견 인데, 서류에 첨부된 사진 만으로도 호감/비호감이 나뉩니다.

 

3. 면접 때 시각적으로 사진과 많이 비교도 하고, 서류 상 궁금했던 점, 얼마나 지원한 포지션에 대해서 알고 있는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지원 했는지를 물어봅니다. 저의 경우 공통적으로 물어보는 질문도 정해져 있고, 각 서류 마다 다르게 물어보는 질문도 있습니다. 구체적인 질문 내용은 생략 합니다. (입사 참고자료를 봐주세요)

 

입사희망자 입장을 고려 했을 때 제가 조언하고자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서류 제출 시 성의를 최대한 발휘하시기 바랍니다. 자유형식으로 서류를 접수 받아도 그 차이가 확연히 납니다. 오타도 잘 보고, 지원하는 회사에 맞게 수정할 내용은 수정 해야지, 기존 서류에 단지 이름만 바꾼 티나는 서류도 많이 봤습니다. 더불어 어떤 이는 이력서만 보내고 어떤 사람은 자기소개서도 보내는 사람이 있는데, 자기를 PR 하는 서류이니 기왕이면 자기소개서도 준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면접시 인상도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사진은 비호감 이었는데 실제는 호감 이었던 사람은 거의 없던 것 같습니다. 반대로 사진은 호감 이었으나 실제는 비호감 이었던 적은 있었던 같습니다. 뻔한 얘기 이지만, 자신감 있고, 밝은 미소로 면접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경력직의 경우, 가장 우선 순위는 경력이 얼마나 부합되는 가 입니다. 그리고 나서 나머지를 보죠, 하지만 신입의 경우는 경력이 없으니 인상과 열정을 봅니다.

 

3. 면접 때 지원하는 회사를 잘 모르고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소한 자기가 있던 분야와 다를 경우, 어떤 회사인지 파악하고 면접에 임하는 데 긍정적인 인상을 주지 않을까요?  면접 본 사람 중에서, 외국에 오래 살다 왔다는 이유로 스웨터를 입고, 삐닥하게 앉아서 면접을 본 사람이 있었습니다. 나중에 본인이 잘 몰라서 그랬다고 다시 면접 기회를 달라고 한 구직자가 있었는데, 외국이나 한국이나 지켜야 할 기본은 지켜야 합니다.

 

4. 채용 후 실제 일을 같이 해 보면, 정말 놀랄 때가 한 두번이 아닙니다. 확실히 면접만 잘 보는 사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최종 합격자 선정시 저랑 같이 면접을 진행하시는 임원분과 저의 생각이 거의 일치 합니다. 이는 동일한 피드백을 받는 다는 얘기죠.

 

5. 운이 란게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어쩔 수 없는 운만 믿고 최선을 다하지 말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운도 최선을 다하는 사람에게 온다는 얘기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경우는 맘에 드는 사람이 딱히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기상 어쩔 수 없이 채용해야 한 적도 있었고, 반대로 면접을 끝내고 인원 선정 까지 끝냈으나 회사 사정으로 인해서 채용 자체가 취소된 적도 있었습니다.

 

 

'외국계기업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회사 VS 외국계회사  (0) 2016.08.11

지금까지 직장 생활 동안 그랜드 슬램(Grand Slam)(?)을 달성 하였습니다. 회계법인을 예로 들면 빅4로 불리는 PWC, KPMG, Deloittee, E&Y 이 있는데, 이 4군데 모두 거친 사람을 그랜드 슬램 달성 했다고 표현 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 중 2군데 경험을 해봤고, 제가 말하는 그랜드 슬램은 회사의 성격을 크게 나누었을 때 정부 관련 회사, 민간회사, 합자회사(Member firm), 외국계 회사를 말하는 겁니다.

 

 

 정부 관련 회사

민간회사 

합자회사 

외국계회사 

 대주주

 정부

국내법인 

국내법인 50%

외국법인 

 회사 분위기

보수 

극보수 

중도 

진보 

 이직률

낮음 

평균 

높음 

평균 이하 

연봉외복리 

보통 

우수 

낮음 

거의 없음 

휴가이용 

보통 

제한 

자유롭게 

자유롭게 

 영어사용

낮음 

낮음 

보통 

많음 

제가 근무했던 회사 들이 회사의 성격을 대표하는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회사 마다 각각 특색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은 고려되어야 합니다.

 

외국계회사도 제가 지금 몸 담고 있는 회사와 같은 지사 형태는 100% 글로벌 시스템을 따릅니다. 다른 회사의 지사는 다녀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한국식이 전혀 없는 시스템 입니다. 즉 외국계 회사도 한국에서 규모가 큰 회사들은 한국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지만 저희 회사 같은 시스템은 많지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외쿡 스타일이라서 신입 사원들에게는 천국 입니다~ (물론 천국 이라는 말이 지금 당장 스트레스 덜 받고 다닐 수 있어서 좋다고 할 수 있겠지만 다른 조직으로 이직시에는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에 무조건 천국 이라고 표현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특히 신입사원 들은 국내 회사와 비교 할 때 눈치 볼 일이 별루 없습니다. 옆부서, 직장상사 등...  자기 일만 일단 잘하면 되는 시스템 입니다. 신입사원 들에게 이렇게 편한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관리직에게는 국내 회사에 비해 조직을 이끌고 가기가 더 힘듭니다.

 

그렇다면 국내회사 vs 외국계 회사...  어디를 선택해야 할 까요? 정답은 본인에게 맞는 회사를 찾아 가야죠. 외국계 회사 라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니고 국내회사라고 무조건 나쁜 점만 있는 게 아니니까요. 본인의 성향을 잘 파악하고 능력을 겸비해서 '나'를 인정해 주는 회사를 찾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조직생활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외국계기업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계 회사 면접 참고 사항  (0) 2016.08.19

 i : hi, D. how are you doing? i am ( )

o : pleased to meet you m. thanks for taking the time to meet with me.

i : well pleasure is mine. did you have any trouble finding this place?

o: not really. i got here a little bit earlier and got myself acquainted with the area.

i : oh, that is great. please make yourself comfortable.

o: sure thanks.

i : no problem.d. i would like this interview to be as interactive as possible. feel free to ask me any questions you have.

i would like to tell you a little bit about myself.

i am a senior analyst in the mergers and acquisitions department. i have been here approximately 6 years and i have been

specializing in advising and providing consultation for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my main clients include a, b and c.

i will be the supervisor for the position we are trying to fill. and, i report to CFO.

O : that's great. could you provide a little more detail on this position please?

i : sure. the main responsibilities of the position include : drafting the prospectus, and prospectus supplement, serving as the liaison

between us, accountants and lawyers and the clients, performing various financial analysis which includes heavy number crunching

and assisting with road show presentations, among other things.

o : the responsibilities sound interesting.

i : certainly. i see on your resume that you have performed similar duties previously. can you tell me about yourself and your experiences please?

o : sure, as stated on my resume, i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studies in 2012. i joined k in 2007 and i have worked in consulting and asset

management department for 6 years. i was promoted to an senior manager in 2012 and i have been specializing in real estate including managing office building, NPL and structured finance.

reviewing contracts and participated in due diligence projects(K, H). Moreover, i participated in hard-to-perform m FS projects by myself successfully.

i : then you must have experience with morgage backed securities or CDOs.

o : certainly. i worked on numerous CDOs, including CDO squares. Bemson and Benson used to sponsor a few CDOs and i used to be mainly responsible for acquiring

the underlying assets to create the collateralize debt obligations.

i : i can definitely see what kind of challenges you had to go through after the market went down. anyway, this job involves heavy travel. are you ok with traveling?

o : sure. i have no travel restrictions and i will be able to make a seamless transition to your team given the opportunity.

i : do you have any other questions?

o : ~

i : yes. if you don't have any more questions, we can conclude the interview here.

o : what's the next step?

i : after you meet with mark levinson, you will have another session with the hr. i will assure you that we will get back to you within 48 hours.

we will inform you about our decision.

o : that's great.

i ; let me take you to mark's office. this way please.

o : thank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