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목만 보면 전투하는 영화 같지만, 사실 영화의 내용은 전투? 자체 보다는 그런 상황 속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사건에 대한 관객의 판단을 맡기는 전쟁법정영화? 가 아닐까 한다.
대사는 독일어랑 비슷하게 들리지만 덴마크 영화이다.
처음 영화 도입부에 제작사 등 설명이 좀 낯설다 싶었는데, 영화 속 군인 들의 제복에 붙어있는 덴마크 국기를 보고 덴카크 영화 임을 알았다.
영화의 주 된 줄거리는 탈레반으로부터 일정 지역을 보호하는, 우리나라로 치면 국제평화군(?)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 덴마크 군인 들이 임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핵심이다.
지역적 특성상 적의 위치 파악이 안되는 상황에서 무차별 공격을 받던 중 주인공의 부하가 목에 관통을 당하는 부상을 당해,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한다. 이 상황에서 부하를 빨리 호송시키려고 지원을 요청하지만 PID(뭐의 약자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에서는 적의 존재 확인을 뜻함) 확인 안된 이유로 1차적으로 지원을 거부했다. 이에 2차적으로 PID를 육안으로 확인 못했지만 PID가 있다고 추정하고 재 지원을 요청해서 공격이 의심이 되는 구역에 폭탄 투하를 하여, 나머지 군인들과 부상병이 그 지역을 빠져나가게 된다.
하지만 영화의 핵심은 이제부터 이다.
담당장교가 폭탄투하 된 지역이 민간거주지역 이어서 민간인 희생이 많았다고 기소를 당하게 된다. 여기서 쟁점은 PID 확인 여부이다. 영화속에서도 PID가 확인 안된 사실은 맞다. 영화속에서 애매한 내용이 검사에게 유리하다가 갑자기 한 군인이 증언을 번복(?) 하는 바람에 결정이 뒤집히는 데... 이게 주인공이 뭔가를 해야 한다고 괴로워 하는 장면이 있는데... 부하직원에게 위증을 시켜서 그런 발언이 나온 것인지 영화상으로는 애매하다.
마지막 검사의 발언에 따르면, 민간인 희생자에 따른 책임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기사에 자주 나오는 오폭 사고에 대하여 그 중요성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내용은 아닌 것 같다. 문제는 PID 확인도 안된 상태에서 민간인을 공격했다는 사실
내 입장에서의 반론은 공격을 당했다, PID 확인 안된 사실도 맞다, 부하가 총상을 입고 사경을 헤매고 있다. 지금 상황을 처리하지 않으면 아마도 부대가 몰살 당할 수 도 있는 상황 이었다.
쉽게 결정내릴 수 있는 이슈가 아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결과가 반대로 나왔더라도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근본적으로 전쟁이란게 없어져야 겠지만, 전쟁이 존재하는 한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다. 검사의 논리를 부정하는 입장은 검사가 주장하는 내용은 교과서적 TEXT 상 해석인 거고, 거기에 상황이 들어가면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오늘은 애플의 공식 판매 및 AS를 하고 있는 가로수길에 위치한 애플스토어(Apple store) 와 아이폰 사설수리점을 비교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소유한 아이폰은 6이고, 작년에 구매한지 정확히 2년이 지나자 마자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 되는 바람에, 이틀 정도 고생하다가 선릉역 근처의 많은 아이폰 수리점 중에서 제일 비싼 곳에서 배터리를 교체 하였습니다. 당시에 공식 애플스토어 보다 배터리 교체 비용이 싸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 이었고, 사설수리점에서 AS도 해줬기 때문에 만족 했었습니다.
바로 오늘 회사 후배가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 5S가 전원이 갑자기 켜지지 않고, 내가 겪었던 동일한 증상을 가지고 있어서 배터리 문제라고 확신하고, 애플스토어 및 사설수리점에 전화로 비용을 확인 한 후, 왠일로 애플스토어가 더 싸다고 해서 시간 예약을 하고 같이 찾아갔습니다.
그런데말입니다.
가로수길에 있는 그 애플스토어에서 20분 넘게 전원이 켜지지 않는 원인을 자기 나름대로 찾다가, 자기네들은 그 원인이 파악이 안되니 추가적인 조치를 할 수 없다. 그러니 수원에 있는 사설수리점을 소개시켜 주면서, 거기서 자료 BACK UP을 받으라고 안내해 줬다고 합니다.
이게 애플스토어에서 할 얘기입니까? 자기네가 만든 제품인데.... 자기들은 작동이 안되는 이유를 잘 모르겠으니, 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수리는 불가능하니 사설업체에게 의뢰하라고....
한국 애플스토어의 수준이 이렇습니다.
그리하여 가로수길 애플스토어에서 나와서 제가 배터리 교체를 했던 선릉역에 위치한 사설수리점에 갔습니다. 그곳에서 증상을 설명하고 배터리를 교체하니 5분도 채 지나지 않아서 다시 5S의 전원이 켜졌습니다. (배터리 교체비용 5만원)
한국 애플스토어의 수준... 정말 최악입니다.
한국 스마트폰 업체였다면, 그렇게 성의없는 답변을 할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건만 팔면 그만인가요? 애플스토어에 유니폼을 입은 그 많은 직원들은 도대체 이런 문제도 해결못하면서 무슨 컨설팅을 해 주겠다는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참고로 배터리교체시 화면이 켜지지 않는다면, 메인보드 문제라고 합니다. 이 경우 수리비용은 더 많이 청구된다고 합니다.
대학원 행사로 청계산을 갈까, meetup에서 북한산을 갈까. 그냥 늘 즐겨가던 아차산을 갈까.. 고민끝에 새벽에는 출발 못하고 8시30분이 되어서야 아차산으로 향했다.
그냥 날씨가 좋구나 했는데... 좋은 정도가 아니었다.
미세먼지 없는 청명한 하늘...
몇일 동안 내린 폭우가 미세번지를 모두 없애버리고, 예전의 깨끗한 우리나라 하늘을 다시 갖게 된 기분 이었다.
낮지만 아차산 정상에서 바라본 전망은 끝내줬다.
정말 정말로 강북을 바라봤을 때 강서구 일부까지 보일정도로 시야가 좋았다.
역시 비온 뒤 산행이 정답이다.
개인적으로 아차산역이 아니라 광나루 역에서 올라가는데... 오늘 인상 깊었던 건... 청계산에 가도 매번 보는 파륜궁 행사(?)와 하산시에 길가 바로 옆에서 양봉을 하는데, 벌들이 막 날고 있어서 깜짝 놀랐다. 신고받고 119 구급대로 왔다가 갔는데.... 그렇게 사람 통행이 많은 곳 바로 옆에서 양봉을 한다는 사실이 놀랍다. 양봉업자는 대지권이 있는건가?? 소유권은 없을 것 같은데...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