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금까지 요리에 관심도 없고, 여행 가서도 잘 챙겨먹는 스타일은 아니어서, 요리 능력은 빵점에 가깝다. 능력, 재주, 관심이 요리에 있어서 만큼은 0

남들과 비교해 봤을 때, 아니 개인적으로 살펴봐도 너무 심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생각해서, 해외 여행 갔을 때나 국내의 외국인 들과 함께 하는 모임에서 cook 관련 모임을 자주 찾아봤지만 내가 생각하는 유형의 모임은 많지 않았다. 그래도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아서 올 해 초반에는 스파게티 만드는 법을 현지인으로 부터 배우기 위해 이촌역(중앙선)이 아니라 인천 까지 갔다 온 적이 있다. 이탈리아에서 온 Diana에게 스파게티 비법을 전수 받을 줄 알았는데, 소스 만드는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하고 우리 입맛이랑 약간 달라서 그냥 먹기만 하고 왔다. 하지만 비록 스파게티 만드는 법은 배우지 못했으나 Diana의 남편 Carlo랑도 친해져서 계속 연락하고 지내고 있다.

어제 참석한 모임은 참석 하기전 개인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많았다. 주최자는 어떤 사람이며.. 왜 모임을 3개월 마다 하는지 등..

모임장소가 원효로라 생각보다 빨리 도착했다. 여의도 환승센타에서 버스를 탔는데 15분만에 도착한 것 같다. 하지만 알려준 아파트 입구에 도착했는데, 몇 호인지를 몰라서 1층에서 대기 해야만 했다. 1층에 있는 나를 데리러 왔는데 프로필 사진과는 좀 달랐다. 처음부터 프로필 사진은 너무 차리고 찍은 사진이라 다를 것이라고 예상 했었다. 일단 집에 들어갔는데 한글책도 많아서 한국어를 잘 하는 외국인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그곳은 AIR B&B로 2일 동안 머무는 곳이라고 했다. 그래서 어떤 주방 용품이 있는지, 그리고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른다고 했다. 본인은 독일 변호사이고, 폴란드(?)에서 로펌 회사에서 근무하다가 회의를 느끼고 동남아 수개월 동안 여행 중이라고 했다. 더불어 45일(?) 동안 백두대간을 혼자서 일주 했다고 했다. 와우 독일에서는 산행 중에 절대 사람들이 말을 걸지 않는데, 한국에선 말도 걸고, 먹을 것도 건네준 점이 인상적 이라고 했다.

그 모임은 요리 강좌가 아니라 같이 요리해서 먹는 자리 였다. 그랬다. 그래서 믹서기에 콩도 갈고, 빵도 같이 반죽하고 했다. 주최자가 해산물만 먹는 vegeterian 이어서 건강식이었다. 속이 깨긋해 지는 느낌


파인애플을 갈아서 파인애플 주스를, 맨 위는 아보카도로 만든 소스, 맨 아래는 콩, 소금, 오일 등을 섞어 만든 소스, 야채 샐러드 그리고 란... 5명이 도란 도란 얘기 꽃 피우면서 같이 준비한 늦은 저녁을 먹고, 차를 마시고 헤어졌다~


'외국인친구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친구...  (0) 2016.08.11

1996년인가 1997년에 외국인 친구도 사귀고 영어도 공부할 겸 당시에 살던 분당에서, 빨간색 1005번 버스를 타고 광화문에 내려서 지나가는 외국인에게 말 걸었다가, 외국인이 나의 호의에도 불구하고, "No, thanks" 라고 하는 말 듣고, 좌절감에 빠져서 1시간 넘게 걸려서 간 광화문에서 바로 집으로 돌아 간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로 부터 20년이 지난 지금, 외국 유학이나 연수 경험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녀왔던 사람들보다 더 많은 외국인 친구 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외국인 친구들이란 단지 얼굴만 아는 정도는 아니고, 최소한의 신세(?) 지거나 부탁을 해도 무리 없이 들어줄 수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교류한지도 상당히 되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까지 서로 연락을 주고 받고 있는 다는 거죠

한국에서도 매일 연락하던 친구들이 어느날 부터 갑자기 연락이 뜸해 지고, 현재는 연락이 잘 안되는 사람들이 꽤 있는 것처럼 연락횟수가 아니라 지속적인 소통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외국인 친구에 대한 환상!?

 

외국 사람들은 모두 매너있고, 좋은 사람들 일까요? 아니죠, 사람마다 다 다르죠.

지금 기억나는 한 사람이 있는데, 2014.9월경 굴업도에 캠핑을 갔었습니다. (사실 굴업도란 곳도 몰랐는데 organizer인 친한 외국인 친구를 무작정 따라 갔었는데, 그곳이 캠핑으로 엄청 유명한 곳 이었습니다. 돌아오는 공휴일에도 다른 외국인 친구가 가자고 했는데 그때 너무 고생한 기억이 생각 나서 불참!) 참석 인원 중 한 외국인이 캠핑 관련된 어떤 것도 가지고 오지 않고, 자기 짐만 한 보따리 가지고 와서, 약속 시간에 늦고, 힘들다고 못 쫓아오고, 음식 준비나 텐트 칠 때도 전혀 도와주지 않고, 차려준 음식만 먹고 간 민폐 외국인 Pink Lady가 갑자기 떠오르네요.

 

나랑 소통이 잘 되는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가 국적이 다르고, 외모가 다르고, 모국어가 다른 것이지... 단지 외국 사람이기 때문에 더 매력이 있거나 더 잘 통하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외국인 친구는 어디서 만나나


저의 경우 해외여행이나 제주도 여행시  Guest House roommate 중 말 통하는 일부 친구들... 생각보다 친구 될 확률이 높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정말 여러가지 상황이 딱 맞아야 친구로 남는 것 같습니다. NY에 있을 때 5일 동안 같은 방을 이용해도 몇마디 말도 안한 중국인 친구가 있는 반면, 짐 정리할 때 5분도 안되게 대화한 스웨덴 친구랑 더 오랫동안 연락을 주고 받은 경험이 있다.(이 친구랑은 지금도 페북 친구로 남아있지만 스웨덴 여행시 연락도 잘 안됬다. 그러니 친구도 아니다) 해외 여행시 숙소에서 진행하는 activities 나 외부 행사 참석해서 만나는 친구들과 오래동안 친구로 지내는 것 같다. 한국에서도 meetup이나 couchsurfing 에서 만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다양한 상황에서 만나는데 지금껏 교류하고 있는 한국 지인들과 마찬가지로 그 확률은 비슷한 것 같다. 결론은 외국인 친구를 만들고 싶다고 간, 쓸개 다 줄 필요는 없다. 처음 인사하는 한국 사람 처럼 똑같은 마음으로 대하면 될 것 같다. 친구의 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친구가 내 주위에 있냐가 중요하기에.






'외국인친구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리 만들기 모임 참석  (0) 2016.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