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쓰레기 같은 연금저축

예전에 연금저축 완납 후 인출할려고 했더니, 16.5% 높은 해지수수료 때문에

운용기관을 삼성화재에서 신한금융투자로 옮겼었다.

한참을 잊고 지냈었는데, 주식광풍(?)에 힘입어

내가 설정을 한 기억도 없는데, 연금저축에서 투자하는 china fund가 높은 수익률 80%

보여주고 있어서... 다시 해지에 관한 내용을 물어보니..

1. 해지수수료는 원금 이외의 수익이 기준이 아니라 원금+수익 총액이 기준 이란다

2. 추가로 알게된 내용은 바로 인출할 경우에만 해지수수료가 발생하고, 현재 상품을 현금화 하거나 fund에서 ETF로 갈아타는 건 가능하다고 한다. FUND에 비해서 관리가 더 용이하다고 하나?

3. 만기에 수령시 10년 즉 120개월 동안 받는 것이라고 한다. 대략따져보니 2000년대에 20만원씩 납입해서 2030년에 40만원씩 받는 구조인데... 물가상승률 감안시 이게 과연 도움이 될까??

 

'보험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를 다녀오다  (0) 2019.06.18
보험 청구시 급여 비급여 란???  (0) 2018.11.28
삼성생명 관련 금감원 민원 내용  (2) 2017.09.12

치과에 대한 지식이 난 별로 없다.
안과와 이비인후과를 주로 다녀서 그 분야는 알아도..

40년 넘게 스케링 빼고 치과치료 받은 적이 딱 한번 있다. 2006년인가 역삼동 회사 근처 치과에서 인레이(최근에서야 알게 된 충치치료 수준) 치료를 받은 후 신체검사 할 때 마다 충치에 대한 진단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교정은 필요하지만 늦었다 ㅠ
이가 가지런 하지는 않지만 충치가 없는 것에 감사해야지..

치과보험에 가입 후 도대체 어떤 치료는 보상받고 어떤치료는 안된다고 하는데..
충치치료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여 이해하기 어려웠다.

오늘 십년만에 치과치료를 받은 후 그 용어를 물어보니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고 한(다.

충치의 수준에 따라서

레진(충치 싹수가 있는 것) => 인레이(충치가 있어서 윗 부분을 금이나 치아색으로 덧 씻우는 것) => 크라운(충치 있는 이를 전체 씌우는 것)=> 임플란트(치아교체?)


그런데 치과보험에서 임플란트를 보상받는 여부에 따라서 월 납부금액이 1만원 이상 차이가 나는 것 같고, 일반 치아보험은 레진이 보상이 가장 많이 된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다.



맨날 헷갈린다.

급여? 비급여?

병원비 계산할 때야 환자 부담분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금액만 보고 결재하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은데...

보험료 청구할 때는 급여/비급여 항목으로 따지기 때문에 헷갈리다.

결론은 급여는 회사나 지역으로 소속으로 가입되어 있을 경우, 의료보험비 납입에 따른 의료보험공단의 부담분이고, 비급여 항목은 의료보험공단에서 부담하지 않는 환자가 순수하게 부담해야 할 금액을 말한다.

실손보험에 가입 하였을 경우, 보상 항목에 해당된다면

급여의 90%, 비급여의 80% 를 보전 받게 된다.

나와 같이 실손보험을 늦게 가입하였을 경우, 본인 부담금 10,000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보상이 가능하다.

지난 늦봄... 태어나서 처음으로 감기 증상 때문에 수액을 맞았는데...

20,000원 짜리 수액을 맞던, 50,000원 짜리 수액을 맞던... 내가 부담하는 금액은 10,000원으로 동일하기에 비싼 50,000원 짜리 수액을 맞은 적이 있다.

처음이라 몰랐는데, 괜히 추가 진료를 받아서 쓸데없이 추가 지출을 해야만 했다.

즉 그냥 수액만 맞아도 무방!!


'보험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다시 고민하다  (0) 2021.02.04
치과를 다녀오다  (0) 2019.06.18
삼성생명 관련 금감원 민원 내용  (2) 2017.09.12

제가 2012년 친척 부탁으로 2건의 종신보험을 들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5년 동안 무슨 보험 인지도 잘 모르고 최근까지 약250,000원의 보험료를 납입 했습니다.

정확한 상품명은 1)탑클라스유니버셜종신 2)탑클라스변액유니버셜 CI 종신 입니다.

일단 위 상품에 대한 이해를 최근에 했습니다.

그런데 말 입니다. 위 보험료가 5년 동안 자동이체 될 때는 매월 25일 마다 꼬박 꼬박 보험료 처리 되었다고 문자가 오더니만, (보험료 납입 중지의 의도로) 자동이체를 중지시켰는데... 보험상품이 유니버셜 이라는 이기 때문에 기존 납입한 보험 적립금에서 대체 납입 되었다고 하고, 계약자인 본인에게 아무런 통지도 해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계약자가 인지 하지 못한채 2개월 보험료가 처리 되었습니다. 유니버셜 상품이 그러하다면, 왜 대체납입 되었다고 알려주지 않는 겁니까?

고객센터에서는
1.이메일로 안내해주는 안내장에 대체된 개월/회수가 확인된다고 하는데... 홈페이지에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건지?

2.홈페이지에서 납입중지는 도대체 어떻게 할 수 있는지?

해지 및 납입중지는 계약자가 쉽게 하지 못하도록 절차를 만들어 놓고, 보험료는 알아서 대체 납입하고..
괘씸해서 보험 해약과 금감원 민원을 진행 중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보험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다시 고민하다  (0) 2021.02.04
치과를 다녀오다  (0) 2019.06.18
보험 청구시 급여 비급여 란???  (0) 2018.1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