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년전인가 홍천에서 산천어 축제에 조카 데리고 갔다가

빈손으로 추위에 떨다 온 기억이 있다.

그래서 갑자기 이번에는 고수와 함께 가기 때문에 손맛을 느낄 수 있을지 않을까 싶어서 갑자기 가게 된 빙어송어 축제....

고수가 오픈하자 마자 30분만에 조업(?)이 결정된다고 해서 아침 일찍 출발하여 9시전에 도착한 이 곳....

일행은 6시30분에 서울에서 차로 이동하고, 난 집앞에 중앙선이 있어서 곧바로 용문역으로 향했다.

우리 일행이 간 곳은 정말 아는 사람만 갈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막걸리로 유명한 지평면에 소재해 있다.

인산인해로 사람만 구경하는 산천어? 빙어? 축제 보다는 훨씬 아담하고 사람이 붐비지 않아서 좋았다.

그 낚시터가 2곳으로 나뉘어져 있고, 송어와 빙어 얼음낚시로 구분하여 입장하게 된다.

송어 얼음낚시의 경우, 입장료가 2만2천원이고(신용카드도 가능), 송어를 담을 수 있는 투명 봉투를 한장씩 나눠준다.

특이한 점은 송어 단가가 있어서 그런지...1인당 2마리만 분출이 가능하다. 그래서 아래의 작은 티켓 2장을 주고 가지고 나올 수 있다.

저 안에서 음식물 섭취는 못한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입구 쪽 간이 식당을 이용해야 하는데, 송어 회/구이 손질비용이 각5,000원 씩이다. 이밖에도 빙어튀김, 잔치국수, 순대, 떡복이, 해물전 등을 팔고 있는데... 가성비는 좋지 않다.

송어 회를 의뢰할 경우, 현장에서 먹기 위해서는 초장, 야채 등 비용을 따로 따로 지불해야 해서 그 비용이 결코 싸지는 않다.

그리고 오후에는 사람이 동시에 몰려서 송어 회/구이를 의뢰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니 미리 미리 의뢰해야 좋다.


간이 화장실 치고는 깨끗한 편이고, 날씨가 그닥 춥지도 않았는데 발이 시려웠다.

문제는 낚시하러 갔는데, 손맛을 느끼지 못해 재미가 있지는 않았다.



막판 퇴장 무렵에 인근에 있던 송어 천사(?)가 자기가 잡은 송어를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30마리가 넘었다.

일반 낚시와 다리게 송어낚시는 낚시대를 계속 현란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 더 힘들다...


아래는 송어낚시터가 오른쪽에 위치한 빙어낚시터...


WOW..

새로와진 왕십리CGV를 오늘 일출 보고 잠깐 들었는데...

정말 좋아졌습니다.

첫 느낌은 Time Square 저리 가라~

고전적인? 전통적인? 영화관을 탈피해서 화려한 시각효과를 마음껏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습니다.

외국여행 갈때마다 영화관을 들러서 분위기가 어떤가 보고 오는데...

지난 주 다녀왔던 블라디보스톡 영화관도 재미없는 영화를 상영해서 그런지 썰렁했고

스웨덴에서 가봤던 영화관도 우리나라 같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상영관 까지 가는 인테리어도 바뀌었다.

벌써 오픈 한지 거의 10년이 다되어 적절한 시기에 리뉴얼을 한 것 같다.

다만 아쉬운 점은 화장실 개선에는 투자를 별로 하지 않은 것 같다. 

보이는 곳은 화려하지만 보이지 않는 화장실은 수도꼭지가 2개가 고장 난 채로 방지되어 있었다.

안타깝게도 1.1 인데도 보헤미안랩소디 빼고는 볼만한 영화가 마땅치 않아서... 어쩔수 없이 포인트를 소진해야 해서 범블비를 봤는데.. 보다가 좀 졸았다.


참고로 예전에 신문에서 CGV 직원 인터뷰한 기사가 있었는데.. 당시 기준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CGV로 왕십리점을 꼽은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아주 오래전 일이지만... 이번 리노베이션을 계기로 다시 그 내용이 유효할 지도 모르겠다.

캠핑을 그리 좋아하는지는 모르겠는데... 그래도 노을 공원 캠핑은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곳이다.

모임에서 노을공원 캠핑인줄 알고 참석을 신청했는데..

자세히 읽어보니 난지캠핑장 이었다. OMG

다큐멘터리3일에서 본 적이 있는데...  노을캠핑장과 비슷하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아무튼 너무 추워서... 여름 캠핑 처럼 활동이 자유롭지 않아서 불편한게 많았다.

노을캠핑장 과의 차이점은 24시간 편의점이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과 입장료 4,000원을 내야 한다는 것... 입장료는 카드 납부도 가능

난지캠핑장과 노을캠핑장 모두 대중교통으로 가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당산역에서 9707번을 타는 것이다. 하차 후 왼쪽으로 가면 난지캠핑장이고 오른쪽으로 가면 노을캠핑장이다.

시설이 많이 낡았다. 노을캠핑장에 비해서... 겨울이라서 더 그렇게 느끼는 건지 모르겠지만...

밤에 전기매트를 이용했는데 계속 전기가 끊겨서 고전이 이어졌다. 각 사이트당 1000KW만 제공되는데, 전기 매트 2개를 사용하니 1000KW가 넘어서 옆 사이트에서 전기를 점프 해와야 했다.

지난 무더위 때 같이 HIKING한 독일의 Buckhard에게 보내 사진!

작년, 재작년 1.1일 모두 응봉산에서 일출을 본 것 같은데...

응봉산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장소가 협소해서, 몇년 만에 해돋이 조망권이 우수한 아차산으로 향했다.

혹시나 늦을 까봐 잠을 설쳐서 오후가 되니 몹시 피곤했다.

내 기억에 예전에 해돋이 보러 갔을 때는 오늘 같이 사람이 많지 않았던 것 같은데...

오늘은 그냥 사람들로 넘쳐 났다.

하지만 날씨는 맑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일출 장면을 목격 할 수 없었다.

아차산 입구에 설치된 임시간판? 네온간판? 새로 나온 기술 같은데 가독력이 우수 했다.


정상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아니 해돋이 장소를 안내해 주는 초롱불

아차산 공식적인 행사는 아마도 팔각정 위에서 하고 있을텐데, 이미 껄떡바위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더 이상 올라가는 것은 포기하고, 여기에서 일출을 기다렸다.


짠 하고 해가 뜨지는 않았다. 정면에 보이는 보루(?)에서 일출 장면을 방해하는 무리들이 있어서...아차산을 100번도 넘게 가봤는데 도대체 저기를 어디일까 궁금했는데 하산 하는 길에 알게되었다. 사람들이 해돋이를 보려고 출입금지 장소를 담 넘어서 올라간 것 이었다. 양심불량들...그렇게 올라가서 새해소망 빌려는 심보가 참...


이미 올라온 김에 정상 까지 올라갔다고 올려고 했는데... 수 많은 사람들이 먼지를 일으키면서 내려오는 바람에 그냥 하산을 했다.

민원제기는 어떨 때 할까요?

전 100% 부당함을 느낄 때만 민원을 제기합니다. 

그럴 수 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을 때는 하지 않구요

그리고 민원을 넣을 때 마다 사죄(?) 성격의 회신을 받는 편입니다.

KB국민카드 관련 어떤 내용 때문에 민원을 제기 했는지 한번 보시죠

 

상대적인 금감원

 

금융회사 근무시절 가장 무서운 전화 중 하나가 금감원 이었습니다.

나도 모르게 공손하게 만드는 그이름, 금감원

 

하지만 금융회사를 퇴사 할 때 부터 금감원은 내게 더이상

두려운 존재가 되지 않습니다.

금융기관과 이슈가 생길 때 마다 금감원의 가장 무서운 존재는 민원인이 됩니다.

금감원 민원

 

KB국민카드를 상대로 금감원 민원을 넣었습니다.

금융회사 근무 경험이 있어서, 불공정(?) 하다고 느껴지면 바로 민원을 넣고 있습니다.

금감원 민원을 넣는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계속 두드려서 개선을 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감원 민원 내용

 

이번 민원의 핵심은 간단 명료합니다.

KB국민카드 재 갱신 때 동봉 된 자료에 아래의 안내 문구가 있었습니다.

 

"무료 해외여행자 보험"

그래서 KB국민카드로 항공권을 결재한 후 KB국민카드에 확인해 보니...

더이상 무료 해외여행자 보험은 실시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지랄을 봤나????

그럼.. 아래 자료를 수정해서 보내던지, 보내지 말았어야지...

장난하나??

 

금감원 민원을 넣는 이유

 

바로 KB국민카드에 해당 내용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 보다

금감원이 충분히 공감할 만한 내용을 금감원을 통해서 연락이 가면

효과가 훨씬 좋습니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개인을 상대하는 게 아니라 중간에 금감원이 존재하는 것이죠

 

금감원 민원 접수

 

아래 처럼 처리기간이 명시 되어 있기 때문에 담당자도 그 기간 안에

결과를 도출해야 합니다.

 

KB국민카드의 회신

 

금감원을 통해 접수 된 내용을 가지고 KB국민카드에서 온 연락을 일부러

받지 않았더니 날라온 문자 입니다.

다음에는 고용노동부, 건교부 대상으로 한 민원에 대해서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2019.02.25 - [별의별 정보] - 금감원 조사역과 통화~

 

금감원 조사역과 통화~

금융감독원에 민원을 넣고, 매번 회신을 공문으로 받아 왔는데...이번에는 이상하게도 대상회사인 KB카드와 금융감독원에서 계속 전화가 왔다.이미 해외여행을 다녀온 터라 따로 통화할 필요가

bluepants.tistory.com

마음속에 품고 있었던 드론 교육~

드디어 12월 3주 간의 연속 저녁 약속 중 딱 하루가 비었는데... 다행스럽게도 그 날 드론 수업이 있어서 다녀왔다.

주말수업도 있었던 것 같던데... 일단 갈 수 있는 확률이 가장 높은 평일 저녁...

소감을 말하면...

재미있었고, 생각보다 훨씬 조정하기가 어려웠다.

배터리가 그렇게 빨리 닳는지도 처음 알았다.

외국인 친구 Garry가 몇 년 전부 고성능 드론을 날렸을 때는 그저 옆에서 보기만 해서 몰랐는데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신분증 지참 했더니, 별도로 확인은 하지 않았다.

역시 아이폰은 야간 촬영은 아닌 것 같네요

수업 시작 전 문 넘어 보이는 실습장소

수업 10분 전에 도착하라고 해서 도착했더니 생각보다 썰렁한(?) 접수 데스크에 놀랐다.

나중에 여기서 참석 서명을 했다.

총2시간의 수업중에서 20~30분은 이론교육... 나머지 시간은 실습시간이다. 하지만 참석 인원에 비해 드론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복불복 이었다.

드론의 종류가 고정익, 변동익(?)로 나뉘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드론은 변동익이다.

드론마다 앞, 뒤를 가르키는 불 빛이 다른데... 일단 정면을 확인해야 드론 운전하기가 쉽다고 한다.

태어나서 제일 처음 해 본 드론조정은 어려웠다. 고도(?)를 잡아주는 기능이 없는 이 드론은 그냥 원위치 하는 것도 힘들었다. 물병에 단 줄이 없었다면 정말 난리가 났을 것이다. 드론이 엄청 민감해서 양손으로 계속 조정해야 했다.

반면에 자동이륙, 자동착륙 기능이 있는 조그만 드론은 고도를 조정해 주는 기능이 있어서 훨씬 쉬웠다. 하지만 배터리가 3분 밖에 못가서 관리자를 수시로 불러야 했다.

역시 보는 거랑 하는 거랑은 다른 것 같다.

아무튼 기회가 되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