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제인지 기억은 나지 않으나 언덕을 올라 물가 주위를 건넜던 기억이 가물가물 났다.
이번에도 5시간 넘게 트래킹을 했는데 미끄러운 바위와 냇가를 건너느라 재미있기보다는 넘어질까봐 긴장을 해서 힘들었다.

6:30 전세버스를 타고 동대문에서 출발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휴에 놀러가는 사람이 많아서 차가 너무 막혔다. 5시간 걸려서 방태산에 도착하니 11:30...
본격적인 산행 출발 전에 벌써 배가 고팠다. 하지만 점심 먼저 먹고 출발하면 너무 힘들다는 조언에 따라 그냥 출발... 아침가리 입구 까지 가기위해 한참이나 걸었다. 예전엔 그 정도로 걸어간 것 같지 않았는데...


우리(후배부부)와 같이 간 일행중에 캘리포니아에서 온 덩치가 좀 있는 셰넌 아줌마가 있어서... 제 시간에 트랙킹을 할 수 있을까 걱정 했는데 기우였다. 우리 일행도 쉬지않고 열심히 걸었는데.. 결국엔 간발의 차로 셰넌이 트랙킹을 끝냈다.
하지만 17:30 까지 모이라고 신신당부 했지만 일부 모르는 회원들이 한시간이나 늦게 도착하여 우리는 한시간, 일찍 트래킹을 끝낸 라스베가스에서 온 아저씨는 3시간을 기다려야만 했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은 생각보다 안 막혀서 2:30분 만에 서울에 올 수 있었다.

그렇게 늦게 출발할지 알았다면 물놀이를 더 여유롭게 하고 와도 되었을탠데 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PS 지도에서는 11km 정도 였는데 막상 걸어보니 15km 였던 것 같다. 아래는 어제 걸었던 fitbit 상 총 거리

외국여행 할 때 마다 가능하면 공공서관이나 서점에 들러서 한국에 관한 책들이 얼마나 있는지 살펴보곤 합니다. 작년과 올해 다녀온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의 경우 일정이 너무 빠듯하여 방문하지 못한게 아쉽습니다.

먼저 엽서에 나올만한 분위기와 독창적인 구조가 인상적인 스웨덴 스톡홀롬의 공공도서관


시간에 쫓기어 충분히 구경은 못했고, 한국 관련 section만 구경함, 나 말고도 도서관 구경온 팀이 있었음

다음은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도서관, 공공도서관 이었는지 핼싱키대학 도서관 이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 함
출입이 자유로왔고 도서관에 새로 교체한 의자(chair)에 대한 의견을 묻는게 새로왔음.. 규모는 아담(?)


뉴욕에서는 두군데의 도서관을 갔었는데 한곳은 columbia 근처의 신축(?) 도서관에 잠시 쉬러, 다른 한곳은 맨허튼 도시 계획부터 계획된 중앙(?)도서관... 거기 서는 실제로 1시간 정도 책도 읽고 왔다. 출입도 자유롭고 도서관에 대한 기록물을 보면, 도서관을 단순히 끼워넣기로 건립한게 아니라 도시의 중심부에 공공도서관을 건립 했다는 사실에 매우 놀랐음

아래 글은 본인의 창작물이 아닌 관계로 문제가 있을 경우 삭제할 예정입니다.

1.     Writing for yourself rather than for the reader

·                Know who your reader is

Do you know who will be reading your report?

If more than one person, who is the most important (ie who makes the decision/pays the fee/influences whether we are used again?)

What do they want to know from us?

Have you answered their question?

What do they already know about the subject?

Don’t tell them what they already know.

Most of our readers are busy, overloaded with information, knowledgeable about their organisation and their industry.

-     So don’t waste their time.

·                Write your report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Most readers are interested in your key findings and conclusions – put those first.

The opening section is the most important – it should be compelling and interesting for the reader.

-     Try starting with The key issues rather than Background and scope.

The main document should only contain substantive issues, conclusions and back-up for your conclusions. Working papers, interview notes, copies of scope, terms of reference etc can all go in appendices.

If the document has more than one reader, structure it into relevant sections and make sure they are clearly titled so each reader can find the bit they are most interested in; eg:

Executive summary – Key issues and findings – Conclusions – Recommendations –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 etc


2.     Including too much detail

·                Be quite clear about your topic and purpose

What are you writing about and why?

What do you hope the reader will do after reading your document?

If you have clear answers to these two questions, it will help keep your writing focused and to the point.

·                Include only information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this topic and purpose

Do not include history, background or “nice to know” facts unless you are sure they are relevant to or important for the topic/purpose.

To be able to do this, you have to have a clear idea about what you are trying to say before you start writing (see 3 below).

 

3.     Writing as you think (doing a “brain-dump”)

Often people don’t know where to start, so they start by writing the easiest part – the reason for the assignment or what they did.

This is not usually of much interest to the reader.

·                Do an outline before you start writing

The best documents present a logical “story” to the reader which is easy to follow.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planning the outline of your “story” before you start writing.

·                Include key messages, not just chapter or topic headings

An effective way of doing this is to write down all your chapter and section headings and then include a sentence after each one stating the main conclusion or principal message of that section.


4.     Making the reader do all the work

A good report is one which conveys its message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 reader. If any reader says “Yes, but what are you trying to say?”, you will know you have written a poor document.

·                Make sure each section passes the “So what?” test

You can do this by always including a conclusion or the implication of your findings.

Never leave it to the reader to draw conclusions from what you have written:

                   a)  they might draw the wrong conclusion!

                   b)  they are paying you for advice and guidance, not just facts.

 

5.     Using more words than you ne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ood writing is clarity; however, in the attempt to be clear, we often repeat ourselves or add more words than are required.

·                Edit your work for superfluous words or phrases

Unnecessary adjectives and adverbs:

completely eliminate; a brief overview; overall summary

Phrases of 4 or 5 words where one word will do:

as of this date (today); owing to the fact that (because); in connection with (about); with the result that (so that)

Saying the same thing twice:

3.00 am in the morning; mutually agreed between the two parties

“Warm-ups”: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nform you that ...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

As you may or may not know, ...

·                Check that you haven’t repeated yourself

If you can, put the document aside for a time so that you can read it again with fresh eyes; or ask someone else to read it for you (they will be more detached).

6.     Producing cluttered, unattractive pages

Page layout and design has an important effect on how easily we read and understand the message.

Remember the following rules:

·                Type:

for maximum legibility, use 11 or 12 pt in body text (you can use 10 pt in graphics)

·                Line length:

lines of text should be 8-12 words long; if they are any longer the reader has to make a physical effort to read, dragging their eyes across the pag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landscape documents.

·                White space:

use plenty of “white space”; it makes the page appear less cluttered and allows you to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     wide margins

-     more space before headings than after

-     space between headers/footers and text

-     space around graphics inserted into body text

·                Reading pattern:

we read from top left to bottom right, so landscape pages should be designed with this in mind

Use the new template AP landscape documents.pot, which has been designed according to best practice principles.

 


아래 자료는 창작 자료가 아니라 2000년대 초반에 받은 자료라서, 문제가 있을 경우 삭제 할 예정입니다.

5 tips for effective writing.pdf




어제 그 동안 준비해오던 프로젝트(?)가 끝나서 그 보상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 중에... 하필이면 어제가 가장 더웠던 날이라서...할 수 있는게 별로 없었는데

갑자기 친구와 연락이 되서 영화 택시운전사를 보았습니다. 어제는 영화제목이 프랑스 영화 택시(taxi)와 헷갈려는데..오늘은 로버트드니로 주연의 택시드라이버(taxi driver)와 제목이 헷갈렸네요. 결론은 택시운전사...


어제 날이 더워서 그랬는지.. 아니면 영화의 인기 때문인지 극장 8군데 넘게 알아봤는데 거의 표가 없거나 앞자리 빼고는 남은 표가 없었습니다. 그렇게 계속 검색하던 중 누가 취소한 자리가 있어서 냉큼 예약을 했습니다.

영화의 구체적인 스토리는 이 자리를 통해서 밝힐 수 없겠고, 영화를 보고 궁금 했던 점은.. 그 독일 기자분에 대한 기사는 얼핏 본 것 같은데 그 운전사 분에 관해서는 왜 아무런 기사가 없을까 하는 궁금증이 해결 되었습니다. 그리고 극적으로 5.18항쟁(? 어떻게 표기해야 맞는 것인지) 관련 소식을 외부에 알릴 수 있었는지.. 그 고마움을 느끼게 한 영화 였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살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희생하신 분들께 감사를 표하며....

그러한 만행의 중심인 전두환 일가가 아직도 배불리 먹고 경호까지 받으며 살고 있다는 사실에 어찌해야 할 지

어제 2017.8.5(토) 국제무역사 1급 시험이 있었는 데요, 좀더 심도있는 무역관련 지식을 쌓고자(사실 관련 책은 여러번 읽은 적 있음) 공부도 하고 이왕이면 자격증도 같이 따볼까 하는 요량으로 공부를 했는데요...

그 동안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무역업종에 취직 하고자 하는 대학교 졸업생이나 신입사원들 빼고는 그리 추천할 만한 자격증 공부(?)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주된 이유는 강사님도 여러 번 얘기 했지만, 실제와 이론이 따로 놀고, 시험문제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낡은 이론만 가지고 출제되는 문제도 많아서 저 처럼 어는 정도 사회경력이 있는 사람이 공부하기엔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튼 학원에서 제공한 기출문제 제35회~제38회, 인터넷에서 떠도는 자료를 모아서 올리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1교시.pdf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2교시.pdf

제35회 국제무역사 기출문제 답안.pdf

제36회 국무사정답.pdf

제36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1교시.pdf

제36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2교시.pdf

제37회 +국제무역사+정답.pdf

제37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1교시.pdf

제37회국제무역사문제공개_2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문제_1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문제_2교시.pdf

제38회+국제무역사+정답.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_1교시+문제.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_2교시+문제.pdf

제39회+국제무역사+1급+정답.pdf


'무역 관련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1회 국제무역사1급 합격수기  (0) 2018.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