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색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국내에 부동산 전공 관련 대학원이 몇 군데 있습니다. 제가 지금 검색해 보니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한양대학교 도시부동산대학원,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이 일단 메인 화면에 뜹니다. 이 중 사람들에게 가장 회자가 많이 되는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야간) 입학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전 관련 대학원을 2010년에 입학하여 2012.8월에 논문으로 졸업한 졸업생 입니다.

 

 

 

앞으로 설명해 드릴 정보는 2010년 입학 당시의 제 경험을 토대로 한 것이며, 2016년 기준으로 바뀐 내용이 있을 수도 있으니 이 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은 5학기 입니다. 학교마다 다 상이한데, 전 입학할 때 당연히 4학기 인 줄 알았는데 입학 후에 5학기 인 걸 알게되었습니다. 4학기이냐 5학기이냐는 등록금과 연결 되기 때문에 중요한 내용 중 하나 입니다.

 

매년 2차례 선발하며(5월과 11월), 세부 전공으로는 금융투자, 건설개발, 경영관리, 글로벌 4가지로 나뉩니다. 전공에 따라 공부하는 내용은 차이가 없지만, 전공마다 그 분위기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이 점은 고려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무조건 합격이 목표이면 전공에 상관없이 경쟁률이 다소 약한 전공으로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맞겠고, 합격에 자신 있는 사람이라면 좀 더 본인과 맞는 전공에 지원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이점은 글로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매 기수마다 합격생은 약80~90명이 되는 것 같고, 글로벌 전공이 타 전공에 비해 합격생 수가 적고, 총 동문들의 수도 약간 적습니다. 금융투자, 건설개발, 경영관리의 합격생 수는 대동소이 합니다. 2010년의 경우, 금융투자의 경우 경쟁률이 6:1 이 넘었던 것 같습니다. 면접시 6명이 한조를 이루는 데, 액면상 1조에 1명이 되는 비율입니다. 제가 면접볼 때 제 옆에 있던 응시생은 7수를 했다고 했었는데 당시에 제가 합격하고 그 응시생은 또 불합격 했었습니다.

 

입학전형은 서류 접수 => 교수님+외래 강사 면접 : 면접 시 영어 독해 시험을 실시합니다. 면접실에 들어가자 마자 책상 위에 놓인 봉투를 random으로 골라서 봉투에 들어있는 영어 지문을 직독 직해 하면 됩니다.(약간 복불복) 교수님이 서류 보고 각 지원자들 마다 궁금한 내용을 질문하는 걸로 끝 납니다. 절대적 기준은 없고 교수님의 주관적 판단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제가 입학 할 때는 면접시 교수님이 당시 나이로 35세 이하는 잘 뽑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말씀 하셨으나 실제로 35세 미만의 합격자 들도 몇 명 있었습니다. 합격은 일반적으로 변호사, 회계사, 감정평가사, 공사직원, 공무원 등 특정 직군에 치우치지 않도록 일정 비율을 어느 정도 지킵니다. 100% 부동산 관련 종사자만 뽑지는 않습니다. 부동산과 전혀 관련 없는 분들도 합격자의 7%(?) 정도 되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예 치과의사, 군인, 반도체 회사 사장 등) 

 

 

 

재산세(건물/토지) 종부세와 관련된 지방세법 .영문 자료 입니다. 

이 중 아래 조항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재산세(건물.토지) : 2 과세표준과 세율

(SECTION 2 Tax Bases and Rates)

    ·         종부세 : 13 과세표준(Article 13 (Tax Bases)),

14 세율 세액 (Article 14 (Tax Rates and Amounts of Tax)

 

Gross real estate tax(종합부동산세)_en&kr.docxLocal tax_en.pdfLocal tax_kr.pdf

 

작성시기가 2014년도 입니다.

REIT&REF.doc

 

 

K 부동산대학원 선택과목 중 입지론이란 강의가 있어서 당시에 수강한 자료입니다. 오래된 자료이기는 하나

학술자료 성격이 강해서 참고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입지론 강의자료

 

1. 부동산대학원 선택과목 입지론

 

입지론 강의는 부동산대학 교수님이 아닌 지리과 C 교수님이 강의해 주셨습니다. 나름 추천도 받은 강의였으나 기대했던 내용과는 약간 상이했습니다.  생각했던 강의내용은 풍수지리에 근거한 재밌는 사례를 기대하였으나 실제 강의는 학술적 접근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제 블로그 까지 찾아오셨다면 수업내용이라서 공개하면 안 되지만, 여러분의 열정을 생각하여 공개로 해두겠습니다.

 

2. 경제지리

경제지리.hwp
다운로드

고등학교 때 지리선생님이 좋으셨는데, 너희 들은 절대 지리과에 가지 말라고 했던 게 갑자기 생각나네요

 

3. 입지경쟁력

입지경쟁력.pdf
다운로드

4. 입지론 강의 1강~9강

입지론 1강 강의소개.ppt
다운로드
입지론 2강 입지의 개념.pdf
다운로드
입지론 3강 산업활동과 입지이론 변화.ppt
다운로드
입지론 4강 농업입지론.pdf
다운로드

 

입지론 5강 공업입지론.pdf
다운로드
입지론 6강 기업 조직과 입지 변화.ppt
다운로드
입지론 7강 해외직접투자와 입지.pdf
다운로드
입지론 8강 중심지 이론(저용량).ppt
다운로드
입지론 9강 첨단기술산업의 입지와 지역.pdf
다운로드

5. 입지론 추가자료

입지론_추가자료_발췌.docx
다운로드

 

현재 부동산대학원 커리큘럼이 궁금하다면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 대학원 입학 관련 정보

검색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국내에 부동산 전공 관련 대학원이 몇 군데 있습니다. 제가 지금 검색해 보니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한양대학교 도시부동산대학원,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bluepants.tistory.com

 

아래의 자료는 오래전에 작성한 내용이라서 바뀐 내용이 있는지 추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s (RICS) : 영국왕립평가사협회 

 

1.     소개

RICS(The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 영국왕립감정평가사협회)는 전세계적으로 높은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기준과 멤버십을 제공하는 비영리단체로서, 토지, 부동산, 감정평가, 건설 그리고 환경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1868년에 설립되어 146개 국가에 91,000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50여 개국의 국제협회와 교류를 하고 있으며, 21개의 전문분과 영역을 바탕으로 160개의 전문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MRICS(Member of RICS)는 영국 RICS의 정회원으로 우리말로는 영국 감정평가사이다. FRICS(Fellow of RICS) MRICS보다 높은 수준의 회원으로 Senior라고 보면 된다. 자격증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Assess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APC) pathway라고 하는데, 우리학교의 경우, 학부와 부동산 대학원은 감정평가사(VAL), 상업용 빌딩 및 주택 공인중개사(COM, RES), 컨설턴트(Management consultancy), 부동산 투자관리(Property finance & investment) 및 도시계획기사(Planning & development) 5가지, 일반 대학원은 이 중 도시계획기사를 제외한 4가지 자격 인증을 획득하였다. 감정평가사는 명함에 MRICS (VAL)이라고 표시한다.

 

  1. RICS 개요                                                                                                                                     RICS는 1868년에 설립되었고 1921년에 국왕 조지 5세로부터 인가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부동산 관련 협회로서 영연방 소속의 모든 국가에서 유효한 자격증이다.  이 협회는 부동산 감정평가 이외에도 골동품 감정평가, 측량, 경영관리, 건설경영, 중개업무 등 21개 업역에 대한 자격을 인증하고 있다.

 

3. MRICS의 중요성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이해 외국 투자자의 국내 부동산 투자(Inbound) 및 국내 투자 및 개발 업자의 해외 투자(Outbound)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평가 물건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산업의 측면에서도 글로벌 부동산 투자회사에 필적하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경쟁력있는 인재가 요구되는 상황이 되었다. 국내외 적으로 전문적 능력과 식견을 인정 받는 국제적인 감각과 선진 가치평가 기법을 갖춘 실무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 자격은 호주, 홍콩 및 카나다를 비롯한 영연방국가에서 정부 인증 자격으로 통용된다.

 

  1. 한국 MRICS 현황

한국 MRICS 2005 RICS와 한국 감정평가협회 사이의 업무협약에 따라 매년 10여명 규모의 한국 감정평가사가 홍콩에서 면접을 통하여 인증을 취득하고 있다. 건국대학교 부동산 대학원의 경응수 겸임교수(평가사)님이 한국 MAI를 지도하는 한국 MRICS는 동 대학원의 신종웅 겸임교수(평가사, DTZ korea 회장)님이 이끌고 있다.

 

5.     인증 내용

이번 건국대 인증은 학부와 대학원(일반대학원 및 부동산대학원) 모두 상기 4가지 혹은 5가지 자격증과 관련하여 모든 필기시험의 면제를 의미한다.   여기서 학부의 경우 졸업생은 전공자와 다전공자를 포함하나 부전공자는 제외된다.  

1)    인증 대상

(1)  학부: 2009년 이후 진입, 편입, 전과 및 다전공자

(2)  대학원 (부동산 대학원 및 일반 대학원): 2009 2월 이후 입학생

2)    인증기간은 3년이며(2014학번까지 유효), 2014년에 재심사를 받아야 함.

 

특별한 면제 조건은 없으나, 졸업에 대한 증빙은 졸업증명서가 아닌 성적증명서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만, 계량 I, 회계론(회계원리), 재무관리, 부동산금융론 1, 2, 감정평가이론 및 감정평가실무는 감정평가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기초과목으로 미리 수강해 두는 것이 좋다.

RICS자격증관련 필수과목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유럽RICS를 참조 바란다. 

 

  1. 전망(Profitability)

MRICS 자격을 이용한 Business Model이 아직 구체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으나, EU와의 FTA가 타결되면, 적어도 형식적인 면에서 한국 감정평가사와 차별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며, 중요한 것은 자격증의 색깔이 아니라 외국어 실력에 바탕을 둔 네트워크의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Inbound(한국에 진출하는 외국인) Outbound(해외로 진출하는 한국인) 업무를 얼마나 자신이 수임할 수 있느냐 하는 네트워크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7.    Membership 신청

인증 대상 학부 및 일반대학원생은 졸업 후 취업한 뒤에, 직장이 있는 부동산대학원생은 재학 중Graduate membership을 신청할 수 있다. 비용은 약 백만원 가량 소요된다. 관련 문의는 아래에서 하면 된다.

PAC

 

 

8.    MRICS 취득절차

재학하는 학위과정과 무관하게 응시자의 관련 업무경력에 따라 3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하며, 필기시험은 모두 면제된다.  보수교육이란 업무관련 교육으로, 감정원이나 평가협회의 교육, 유럽 상공회의소 및 부동산대학원의 세미나 등을 포함한다. 인증 대상 졸업자는 졸업 후DTZ, Korea 를 통해 Graduate membership을 신청하고 관련 절차를 따르면 된다.

 

1)    Graduate route 3

대학졸업 이후 10년 이상 관련업무 종사자는 자신이 진행한 하나의 프로젝트에 관한 보고서(critical analysis, 3,000 word, 영문이므로 번역 및 교정비 추가 발생) 48시간의 보수교육(professional development부대원 제공 추진중)을 받고 이력서(CV)와 한국 MRICS(스폰서라고 부름)의 확인서를 첨부하여 홍콩에 가서 1시간 인터뷰를 하면 된다. 인터뷰 중 첫 10분은 본인이 우리말(영어) 프리젠테이션을 해야 한다. 한국인 동시통역을 동행할 수 있다( 100만원 추가 비용 발생). 이 과정은 한국 평가협회와 RICS 간의 업무협약 내용과 동일하다.

DTZ를 통하여 신청하면, Graduate route 3 자격에 해당하는지를 심사하여, 결과를 알려준다. 은행의 기획실에서 10년간 일한 사람이라면 감정평가사(MRICS-VAL)가 아니라 MRICS (management consultancy) 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2)    Graduate route 2

대학졸업 이후 5년 이상 관련업무 종사자는 위Graduate route 3의 요건에 더하여, RICS 인증기관에서, MRICS(counsellor)의 지도하에 12개월간 관련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Counsellor가 반드시 같은 회사에 근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MRICS(RES)를 추구하는 경우에도, Coundellor는 다른 종류의 MRICS면 되고, 반드시 주거용 빌딩 공인 중개사MRICS(RES)가가 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이 경우 졸업 후에 신청하여야 한다.

3)    Graduate route 1

업무 경험이 5년 미만인 학부 졸업생 및 일반대학원 졸업생의 경우에 해당되며, Graduate route 3의 요건에 더하여RICS 인증기관에서, MRICS(counsellor)의 지도하에24개월간 관련직무를 수행하면 된다. 부동산대학원생은 재학 중 신청할 수 있는데, 재학 중 업무수행은 1년 까지만 인정된다.

 

9.     유지비 및 fee

MRICS 취득 후 연간 $ 500 정도가 소요됨.

 

 

부가세 조기환급 신고 후 8일 째 조기환급금 입금

내 돈 내고 내가 다시 돌렸받는데도 이렇게 기쁠 수가 있나요? 그것도 조기환급이라 더 기쁩니다. 환급시기가 조기환급신고기한 후 15일 이내라고 기재되어 있어서 대략 10일쯤 예상했는데, 무려

bluepants.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