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ER(price-earning ratio)
란 주가(株價) 1주당 순이익(純利益)으로 나눈 값으로 즉 주식의 1 주당 시장 가격인 주가와 1주당 수익액의 비율로 보통 주가 수익률(株價受益率)이라고 한다.

株價收益率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

수익력에 비해 주가가 몇 배인가를 표시함으로써 종목간 또는 국가간 주가수준의 비교를 가능케 하는 지표이다.

똑같은 시가 1000원짜리 주식이더라도 A종목의 PER 2배이고 B종목의 PER 4배라면 B A보다 2배만큼 고평가됨을 의미한다.

이것이 지표로서의 신뢰성을 높이려면 기업이익의 적정 산정이 뒷받침돼야 하고 이를 위해 신뢰성 있는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숨김 없는 영업실적의 공개 등 기업회계의 적정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 

주가가 그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주가 를 한주당 연간 이익금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이 배율이 크면 이 회사의 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고, 배율이 작으면 주가가 이익에 비해서 싼 것이 된다.
이익은 배당보다도 그 기업의 수익력이나 안정성을 정확하게 반영해서, 주가도 그 쪽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주가 수익률은 경향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주가 수익률 은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주가지표가 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독의 결산 숫자만으로 보기 보다, 연결결산의 이익을 기준으로 한쪽이 그룹전 체로서의 종합력·성장력을 반영하고 있다는 견해도 늘고 있다.
타당한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각국의 경제사정이나 기업의 성장도도 다르기 때문 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고 또한 유가증권마다의 이익신장률에 따라 서 견해가 달라진다.


'회계사자격증,AICPA > 금융,회계 참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레이션과 WACC  (0) 2016.08.07
주가순자산비율  (0) 2016.08.07
MMDA 와 MMF  (0) 2016.08.07
변액보험(變額保險/variable insurance)의 정의  (0) 2016.08.07
RISK에 관하여  (0) 2016.08.07

1.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 )
표제어 : MMDA

동의어 :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 예금

시장 실세 금리에 의한 고금리와 자유로운 입출금 및 각종 이체, 결제기 능이 결합된 상품으로 단기간 목돈을 운용할 때 유리한 예금이다.
가입 대상은 제한없으며 저축 기간은 제한없음 기간의 제한은 없으나 기업예금의 경우 7일미만 예치분에 대하여는 이자 를 지급하지 않는다.

저축 한도 역시 제한없으며, 처음 통장 개설시에 입금액의 제한을 두는 은행도 있음 저축 이자율은 개인의 경우 매일의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율 결정 기업의 경우는 매일의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율을 결정하나 7일 미만 예치분에 대하여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음 이자계산은 매일의 잔액을 기준으로 잔액별 차등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 를 원금에 가산(복리)

 

2.'Money Market Funds'의 약자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다음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미만의 기업어음(CP)·양도성예금증서(CD)·콜 등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만기 30일 이내의 초단기금융상품이다.

은행보통예금처럼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한 상품으로 하루만 돈을 예치해 놓아도 펀드운용 실적에 따라 이익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기자금을 운용하는 데 적합한 상품이다. 1996 9월부터 허용되어 투자신탁회사에서 취급하고 있으며, 가입금액에 제한이 없어 소액투자자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납입된 보험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정액 보험과는 다른 별도의 특별 계정에 산입하여, 각 각의 특별계정 자산운용의 성과를 사망보험금이나 만기보험금(내지는 해약 환급금)의 액수에 반영 시킴으로써 보험금액이 보험기간 중 변동되는 방식의 생명보험이다. 정액보험에서는 자산운용 이율이 예정 이율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그만큼 이차배당(利差配當) 으로 계약자들에게 환원시키기 때문에 계약 때 계산된  책임 준비금이 변동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보험가입 금액도 변동되지 않는다. 변액 보험(變額 保險)에서는 특별계정마다 독자적인 자산운용이 집행되어, 그 결과가 직접 적 립금(정액보험의 책임준비금에 배당금을 보탠 것에 해당)에 반영되므로, 결과에 따라 정액보 험을 웃도는 급부를 얻을 수 있고, 인플레 대책의 구실을 수행하는 측면이 있는 한편, 계약자 가 불이익을 입을 위험도 더불어 지닌다. 변액 보험은 특별 계정이 주로 주식 등의 장기적인 오름세를 겨냥해서 운용되기 때문에 현금 효과가 크고 더하여 장기적인 보험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변액보험의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책임준비금의 증감비율과 같은 비율로 사망. 만기보험금이 증가하는 것.

책임준비금의 예정이율과 실제이율과의 차액으로 동형의 보험을 더 사들여서 보험금액을 늘이는 것.

정액보험과 책임준비금의 차액분(差額分)만큼 보험금액을 늘이는 것. 어느 경우에나 사망보험금에 최저 보증이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만기보험금, 해약환급금에는 최저 보증은 없다. 종신보험형()의 변액보험(종신형)과 양로보험금의 변액보험(유기형)이 이 일반적인 상품이다.


이자율 차익()

자산운용에 의한 실제수익률이 예정이율보다도 높은 경우에 생기는 이익을 이자율차익이라 말하며, 반대의 경우를 이자율차손으로 말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이자율차익()= (실제수익률-예정이율책임준비금의 총액 = (자산운용에 의한 실제의 이자 및 배당수입) - (예정이율에 의해 보험료적립금으로 산입되어야 할 예정이자)이다.

 

비차익손

실제의 사업비가 예정사업비보다 적은 경우에 생기는 이익이다. 반대의 경우는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사업비차손이라 한다. 식으로 표현하면 사업비차익() = 부가보험료의 총액 - 실제사업비의 총액이다. 책임준비금의 적립방식(순보험료, 질멜식)에 따라 각 보험연도의 부가보험료 크기가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계약당초의 초년도에는 신계약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업비차손이 생기지만 경과년수가 증가하면 사업비차익이 발생된다.

 

사차익손

일반적으로는 위험률차익이 발생할 경우 계약자에게 그 이익을 배당으로 지급하게 되는데 현재는 1년이상 유지된 유효한 배당보험계약에 대하여 각각의 연간보험료에 보험회사가 결정하는 위험률차배당율을 곱한 금액을 위험률차배당금으로 지급하게 된다.

 

'회계사자격증,AICPA > 금융,회계 참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순자산비율  (0) 2016.08.07
PER 주가수익률  (0) 2016.08.07
MMDA 와 MMF  (0) 2016.08.07
RISK에 관하여  (0) 2016.08.07
연결재무제표와 결합재무제표  (0) 2016.08.07

 Risk

 Risk is the volatility of unexpected outcome.

위험(Risk)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예상하지 못한 최대의 손실 가능 금액을 뜻한다.

위험은 다음의 순서와 방법에 따라 측정되고 관찰,관리되어야 한다.

측정 ------> 관찰 -------> 관리
Measure       Monitor           Manage

측정
위험을 VaR(Value at Risk),DeaR(Daily Earning at Risk)의 수단으로 정량화

관찰
위험정책보고서나 전문적 판단 등에 의해 위험요소를 상시 관찰하고 감독

관리
EVA(Economic Value Added), RORAC(Return on Risk Adjusted Capital)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위험에 기반한 자본할당, 위험을 반영한 상품가격의 책정


Risk의 종류

1. 이자율의 위험
Refinancing Risk, Reinvestmet Risk, Market Value Risk
2. Credit Risk(
신용 위험)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손실의 위험
3. Market Risk(
시장 위험)
환율, 금리의 변동이나 투자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보유한 자산가치가 변해서 발생하는 손실의 위험
4. Off-Balance sheet Risk(
부외거래 위험)
5. Technology & Operational Risk(
기술과 운영의 위험)
6. Country Risk
7. Liquidity Risk
8.
기타위험
세법의 변화, 인플레이션,실업요소 등에 의한 금융시장의 위험변경


Risk 측정기법

전통적 기법
-
일반적 추정 : 표준편차
-
금리민감도 척도 : PVBP(Price Value Of a Basic Point),Duration,ALM(Asset Liability Managemet)
-
주식위험 척도 : Beta
- Option
민감도 척도 : "The Greeks"(Delta,Gamma,Vega,Theta)
이런 전통적 척도는 합계를 산출하기 어렵고, 위험자본량(Capital at Risk)의 산정이 난이하며 통제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VaR(Value at Risk)

VaR
은 특정기간 동안에 일정한 신뢰수준을 전제로 할 때 시장요인의 불리한 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최대손실액수를 뜻한다. 표준편차와 베타의 경우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에 관한 기준이 모호하나, VaR은 명확하다

1. 연결재무제표와 결합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와 결합재무제표 모두 법률적인 단일 법인의 한계를 벗어나 지분관계로
얽혀있는 경제적 실체를 회계학적으로 잡아내기 위한 것입니다. 단일 법인만을 회계적 주체로 본다면 법률적인 문제로 인해서 기업소유권이 주식의 형태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자회사나 지점 모두 중심기업(지주회사같은..)의 지배를 받지만 자회사는 독립된 단위로서 나의 재무제표에는 잡히지 않는 맹점이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맹점을 이용해서 계열사 자산의 규모를 뻥튀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연결재무제표나 결합재무제표를 이용하면 이러한 뻥튀기들이 사라지는 것이죠. 연결과 결합의 차이는 한마디로 연결은 1:1의 관계만을 분석해서 동일기업으로 본다면 결합은 계열사전체를 하나의 기업으로 보아 회계처리한다는 점입니다. 결합재무제표는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약간은 이상한 제도입니다. 그 대상도 30대기업에만 국한되어 있으므로 보편적이라고도 할 수 없습니다.

 

연결재무제표

법적으로 독립된 회사들이 지배.종속관계를 형성하여 경제적으로는 단일실체와 같을때, 이들 기업 집단을 단일기업으로 간주하여 작성한 재무제표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별재무테표를 주된 재무제표로 하고, 연결재무제표를 부차적인 재무제표로 규정하고있지만(기업회계기준에서) 영미에서는 연결재무제표 가 주된 재무제표이고, 개별재무제표는 부속 명세표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기업군을 하나의 경제활동주체로 보고 법적실체는 경제적 실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문으로 보기때문이죠.

회계는 특정 경제적 실체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데, 기업이 다른 기업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면 개별기업의 재무제표만으로는 관련된 경제적 실질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죠. 따라서 지배, 종속관계가 성립하는 관련 기업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보고 이에 대한 재무보고서를 작성할 필요에 의해서 연결재무제표가 탄생한 것입니다.

유용성

1.
경제적 실체를 구성하는 기업집단 전체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그리고 현금흐름등의 정보를 제공해준다
2.
연결회사간에 이루어지는 부당한 내부거래, 상호출자, 내부이익 등이 모두 제거되므로 개별회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재무정보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3.
기업결합과 경제력 집중에 따른 독과점 규제, 공정거래 확보 및 여신자원의효율적 배분등 관련정책수립에 유용하다.
4.
국제자본시장에서 자본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회계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을 증진시킨다.
5.
연결납세신고제도가 도입될 경우 미실현이익에 대한 과세를 방지하고 누진세율하에서 부당한 조세회피를 방지할 수 있다.

한계점

1.
연결재무제표만으로는 연결실체를 구성하는 개별회사의 고유정보를 얻을 수 없다.
2.
연결대상범위를 올바르게 결정하지 못할 경우 기업집단 재무정보로서의 유용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3.
연결재무제표상 이익잉여금, 유동비율등을 정보이용자가 잘못 해석할 여지가 있다.
4.
연결회사간 업종의 현저한차이, 회계처리방법상의 차이등으로 인하여 재무보고의 통일성과 비교가능성을 기하는데 문제가 있다.
5.
연결절차가 복잡하고 정보생산비용이 많이 드는데 반해 관련정보는 이해가능성이 있는 소수의 정보이용자만이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결합재무제표

우리나라 기업집단의 파행적 지배구조(지저분하게 얽혀있는 대그룹들) 에서 비롯된 결합회계제도는 기업집단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한 하나의 제도적 장치입니다.
연결재무제표는 기업과 기업간의 지배종속관계를 전제로 하는데 우리나라 기업집단의 주식소유관계는 개인 또는 족벌중심으로 되어있으며 과점주주에 대하여 세제상, 정책상 불이익을 부여함으로써 상당수 위장분산되어있어 진정한 지배회사 파악이 곤란할 뿐 아니라 연결범위 결정상의 문제로인하여 실질적으로 지배가능한 기업이 상당수 연결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렇게 연결에서 빠져나가려는 기업들을 몽땅 잡아서 대주주, 개인및 친족집단 소유지분까지 포함하는 재무제표가 결합재무제표입니다.

유용성

1.
기업집단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
2.
기업의 부실화에 대한 예고자료를 제시
3.
결합재무제표는 기업집단 내에서 행해지는 회계조작이나 분식결산을 방지 내지 억제하는 효과
4.
기업집단을 대상으로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하면 기업집단이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서 명확히 인식
5.
결합재무제표로부터 산출되는 기업집단에 대한 정보는 정부의 각종 경제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

한계점

1.
결합재무제표 작성과정에서 여러가지 모호한 문제에 직면한다
2.
기업집단내의 계열회사간에 업종, 결산일, 회계방법등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는 경우는 이들 기업을 포함하는 결합재무제표의 유용성에는 한계가 있다.
3.
결합재무제표가 반드시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엑셀의신 회사에서 쓰는 실무엑셀:비즈니스에 필요한 보고서 스킬 완전 정복! 846p 실무 바이블, 황금부엉이

https://coupa.ng/bQUErD

 

앤커 사운드코어 블루투스 스피커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회계사자격증,AICPA > 금융,회계 참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순자산비율  (0) 2016.08.07
PER 주가수익률  (0) 2016.08.07
MMDA 와 MMF  (0) 2016.08.07
변액보험(變額保險/variable insurance)의 정의  (0) 2016.08.07
RISK에 관하여  (0) 2016.08.07

+ Recent posts